반응형

spring 3

[Spring Batch] ItemReader과 ItemWriter 사용해보기

Spring Batch는 대용량 데이터 처리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강력한 프레임워크이다 이 프레임워크의 핵심 구성요소 중 하나가 바로 ItemReader와 ItemWriter가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두 컴포넌트의 개념을 이론적으로 정리하고, 실제로 프로젝트에서 겪었던 문제와 해결 방법도 함께 공유하고자 한다 Spring Batch의 핵심 컴포넌트: ItemReader, ItemWriter Spring Batch는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할 때 기본적인 구조는 다음과 같다 ItemReader → ItemProcessor(선택적) → ItemWriter ItemReader란?ItemReader는 데이터를 하나씩 읽어온다 read() 메서드를 통해 호출될 때마다 다음 데이터를 반환하며..

[Spring Batch] 2025.05.29

[Kotlin + Spring Security + JWT] 회원가입 로그인 기능 구현 (2)

지난 포스팅으로는 Kotlin 으로 회원가입 기능을 구현해봤다. https://miny-dev.tistory.com/4 그리고 로그인에 대한 이론적인 정리도 해보았다. https://miny-dev.tistory.com/11 로그인, 로그아웃의 동작원리? 쿠키와 세션, 웹 스토리지 이론 로그인을 하고 그 후에 다른 페이지로 이동할 때, 서버는 이 사용자가 로그인된 사용자라는 걸 어떻게 알까? ​ 또는 장바구니에 넣어놨던 리스트들은 사이트 창을 닫아도 계속 남아있거나, 다 miny-dev.tistory.com 이번 포스팅으로는 이론적인 내용의 로그인 기능을 실제 구현해보려고 한다. ​ 먼저 Spring Security라는 Spring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보안을 담당하는 하위 프레임위크를 사용했으며 세션 I..

[Kotlin] 2023.10.15

[Kotlin + Spring Security + JWT] 회원가입 로그인 기능 구현 (1)

로그인은 사용자 인증을 통해서 사용자의 정보를 보호하고 사용자 인증을 목적으로 한다 Server에서 Client가 누구인지 알 수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 인증 단계를 거쳐야 한다. ​ 보안에는 인증과 인가로 나누어 생각해볼 수 있는데, 인증 : 사용자의 본인확인 인가 : 사용자 별 접근 권한 의 의미를 담고 있다 ​ 그래서 kotlin 공부로 첫번째 프로젝트는 Spring Security 기반의 회원가입 로그인 기능을 구현해볼 생각이다 해당 프로젝트는 application.properties 에 8080 포트로 서비스를 빌드시켰으며 db는 mysql를 사용했다 ​ 기본적으로 패키지 구성은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 dto, entity 로 나눌 수 있다 ​ 여기서 DAO/M..

[Kotlin] 2023.10.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