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로 프로그래밍을 하기 위한 이클립트(Eclipse) 설치 방법에 대한 포스팅이다
이클립스를 설치하기 전 먼저 확인해야 할 것이 있다
본인 PC에 jdk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그 이유는 JAVA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함이다
jdk는 자바 개발 키트(Java Development Kit, JDK)의 약자로 개발자가 만든 java(.java) 파일을 실행 파일(.class)로 만들어주는 역할이라고 보면 된다
jdk가 설치 되어 있는지 확인 하기 위해서는 cmd 창에서 명령어로 확인 가능하다
설치가 안되어 있다면 다음과 같이 뜬다
> java -version
> javac -version

본인 PC의 운영체제에 맞게 설치하면 된다

설치 파일이 다운로드 되면 클릭해서 next > next 설치를 완료한다
설치되는 위치는 환경변수로 추가해야하기 때문에 저장하고 있는걸 추천한다

설치가 완료되면 이클립스에서 JDK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시스템 환경 변수에 설치 경로를 추가해야한다
변수 이름 : JAVA_HOME
변수 값 : jdk 설치 위치

변수 이름 : CLASSPATH
변수 값 : %JAVA_HOME%lib

다음은 기존 시스템 변수 Path에 추가해야한다
Path > 새로 만들기 : %JAVA_HOME%bin

이렇게 환경변수 설정을 마치고 나면 다시 cmd를 통해 jdk가 알맞게 설치되었는지 확인한다

jdk가 설치가 마무리되었으면 이클립트(Eclipse)를 설치하면 된다
이클립트(Eclipse) 공식 홈페이지에서 본인 PC 운영체에 맞는 버전을 다운로드 한다
기본적으로는 웹 개발에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Eclipse IDE for Enterprise Java and Web Developers] 버전을 선택했다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압축을 풀고 eclipse.exe 실행파일을 실행하면 설치가 완료된다
실행하는 경우 처음 Workspase를 지정하는 화면이 나오는데 프로그램 소스 파일을 저장할 공간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개발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dis Cache 이론 정리 (1) | 2023.10.29 |
---|---|
로그인, 로그아웃의 동작원리? 쿠키와 세션, 웹 스토리지 이론 (0) | 2023.10.15 |
방화벽이란? ip주소, 포트번호에 대한 이론적 내용 정리 (1) | 2023.10.15 |
WEB 서버와 WAS(Web Application Server)의 차이 (1) | 2023.10.15 |
HTTP와 HTTPS 개념 및 차이점은 무엇일까? (1) | 2023.10.15 |